소망ㆍ평화 목판화만들기 & 작가와의 만남
홍선웅
Hong, Seon Wung
1952
1979 중앙대학교 예술대학 회화학과 졸업
주요개인전
2008 차와 매화, 신세계갤러리, 인천
2001 홍선웅의 판각기행, 인사아트센터/신세계갤러리, 서울/인천
주요단체전
2018 창원조각비엔날레, 성산아트홀, 창원
침묵에서 외침으로, 제주4.3평화기념관 기획전시실, 제주
2017 22nd Eastern Art Salon, 루블린박물관, 폴란드
6회 울산국제목판화페스티발, 울산문화예술회관, 울산
코리아 투모로우:해석된 풍경, 성곡미술관, 서울
2016 예술이 꽃피는 해안선, 자하루미술관, 해남
2015 경기팔경과 구곡, 경기도미술관, 안산
2013 백령도 525,600 시간과의 인터뷰 전, 백령도, 인천아트플랫폼, 인천
2011 2011亞洲版圖展, 국립대북예술대학 관도미술관, 타이페이
2010 경기도의 힘, 경기도미술관, 안산
2008 한국현대판화의 흐름, 전북도립미술관, 완주
복제시대의 판화, 경남도립미술관, 창원
2007 한국현대판화 1958-2008, 국립현대미술관, 과천
민중의 고동-한국미술의 리얼리즘 1945-2005, 니카타현, 후쿠오카 외 3곳 지역미술관 순회전
백두대간 대미 지리산, 전북도립미술관, 완주
2006 아시아의 지금, 북경아라리오 미술관, 쌈지스페이스, 북경, 서울
2005 붉은 꽃이 피다-동북아 3국 현대목판화전, 일민미술관, 서울
2004 엄뫼-모악전,전북도립미술관 개관기념전, 전북도립미술관, 완주
1999 ART DOCUMENT 1999 IN KANAZ
1994 민중미술 15년, 1980-1994, 국립현대미술관, 과천
1993 코리아통일미술전, 동경 센트럴미술관, 동경
1991 3인 목판화 갈아엎는 땅, 독일 안파리나 화랑, 서울 및 국내순회전
레지던시
2018 제주문화예술재단 예술공간 이아
작품소장처
국립현대미술관, 서울시립미술관, 광주시립미술관, 전북도립미술관, 일민미술관,
인천문화재단, 서울시교육청, 진천군립판화미술관 등
홍선웅의 다색목판화에는 내러티브가 있다. 그의 작품에는 역사와 인생이 다채롭게 꽃핀다. 역사의 현장을 탐방하고 문헌을 통해 진실을 알려는 작가의 노력이 고스란히 전해진다.
그는 판화를 만들어내는 판화 원판 자체의 고유성과 독자성을 연구하며 각 지역의 판각문화를 다룬 판각기행과 우리 산천의 풍광을 담은 진경판화 기행을 연재 출판하였다.
이번 전시의 출품작 <시음리 초소>는 김포시 시음리 마을 DMZ 안에 있는 초소이다. 한강 변을 따라 이어지는 많은 초소들 중 하나이지만 이곳은 한강 북쪽으로 임진강과 예성강 두개의 강 하구가 한 눈에 내려다보이는 지역이어서 특히 풍광이 아름다운 곳이다. 판화에는 두 그루의 커다란 포플러나무에 중심을 두고 그 주변으로 경계를 위한 초소와 철책과 탄약고를 그려 남북 분단의 현실을 한 눈에 느끼게 하였다. 한강으로 합수하는 두 개의 강과 하늘에는 뭉게뭉게 피어오르는 구름을 그려 초가을의 서정성이 담긴 분단풍경을 그리고자 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