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홍순
박홍순
Park, Hong Soon
1965
1992 홍익대학교 독어독문학과 졸업
1999 홍익대학교 산업미술대학원 사진디자인전공 졸업
주요개인전
2017 백두대간에서 사대강까지, 리각미술관, 천안
2016 그럼에도 불구하고, B-cut 갤러리, 서울
2014 강(江), 스스로 그러하다, 로터스 갤러리, 경기
백두에서 낙동강까지, SPACE 22, 서울
2012 대동여지도-계획 중간보고서, 한미사진미술관, 서울
2010 Paradise in Seoul, Lexus갤러리, 대구
2008 서해안, 한미사진미술관, 서울
Paradise in Seoul, 미네르바갤러리, 경기
2007 Paradise in Seoul, 성곡미술관, 서울
2006 꿈의 궁전, 서동갤러리, 광주
꿈의 궁전, 쌈지길갤러리, 서울
2005 한강, 노암갤러리, 서울
주요단체전
2018 유유산수 서울을 노닐다, 세종문화회관미술관, 서울
2017 풍경을 바라보는 시선들, 한미사진미술관, 서울
2016 A Great River Biennial of Golden Peacock, 시솽반나 포토페스티벌, 중국 운남성
대구사진비엔날레, 대구문화예술회관, 대구
녹색을 위한 풍경전, 공간 이다, 하남
녹색을 위한 풍경전, 창작문화공간 여인숙, 군산
그때, 군산을 만났다, 창작문화공간 여인숙, 군산
2015 제2회 수림사진문화상, 한벽원 갤러리, 서울
사진, 그 방법과 은유 앞에서, 쿤스트독 갤러리, 서울
2014 다큐멘터리 스타일전, 고은사진미술관, 부산
강원사진가초대전, 동강사진축제, 동강사진박물관, 영월
사진과 도시, 미술관 속 사진 페스티벌, 경남도립미술관, 창원
2013 Bird Paradise, 아라비갤러리, 원주
서울시립미술관 북서울 미술관 개관전, 북서울 미술관, 서울
사진과 사진, KT&G 상상마당 갤러리, 서울
사진 미래色 2012, 고은사진미술관, 부산
강은 산을 잊지 못하고, 서학동 시진관, 전주
2012 형형색색, 오늘을 읽다, KINTEX, 경기
한국현대미술전-시간의 풍경들, 성남아트센터 큐브 미술관, 서울
구럼비의 노래, 류가헌갤러리, 서울
노마딕 리포트 2012, 아르코미술관, 서울
수상
2015 수림사진문화상
2009 The Prix pictet 2009-Earth, 영국
2007 송은미술대상 우수상 수상
레지던시
2010 경기창작센터 입주작가
박홍순은 30대 초 대학원 재학 중 산을 좋아 하고 안셀아담스(Ansel Adams)의 흑백사진에 매료되어 풍경사진을 촬영하기 위해 한 학기 내내 설악산을 다녔다. 그러던 중 우리 국토는 인간과 멀리 떨어져있지 않고 매우 가까이 있음을 깨닫게 되었다. 산골짜기마다 길이 나 있고 인간이 살며 히말라야나 록키산맥과 같이 장엄하지도 웅장하지도 않지만 소박하게 우리의 삶 속에 녹아있는 자연을 깨달은 것이다. 그러나 산업화에 따른 무분별한 개발로 국토는 몸서리를 치고 그 상처는 곳곳에 산재해 있었다. 그 후 작가는 평생의 작업으로 이 땅을 돌아보며 인간과 자연과 환경의 문제를 사진작업을 통해 고찰하기로 마음먹고 작업 중이며 이후로도 <섬진강>, <DMZ, 남한의 북쪽>, <우리의 섬들>로 이어질 것이다. 통일이 되면 북쪽의 땅들까지 전 국토를 망라할 때까지 이 작업을 계속 할 것이라고 한다. 산허리가 끊겨 신음하는 ‘백두대간’이, 필요 없는 강을 막아 세운 필요 없는 ‘금강산댐’이, 이제는 변해 버린 ‘4대강’이 우리에게 이야기하는 것을 듣고 보존과 합리적인 개발로 미래를 준비해야 될 시점인 것이라고 작가는 말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