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윤재
김윤재
Kim, Yun Jae
1982
2009 경원대학교 미술대학 환경조각과 졸업
2015 경원대학교 미술대학원 조소과 졸업
주요개인전
2015 메탈산수, 포스코미술관, 서울
2013 콘크리트 위에 핀 꽃, 관훈갤러리, 서울
2011 산수조각, 유아트스페이스, 서울
2009 산수조각 0.5, 부암동 호기심에 대한 책임감, 서울
주요단체전
2016 생생화화, 아람누리미술관, 경기
2015 청년예술100, 늉예잔란관, 베이징
2014 네오산수, 대구미술관, 대구
2013 탄생, 양평군립미술관, 경기
소설적풍경, 광주신세계갤러리, 광주
2012 황금기, 롯데갤러리 영등포점, 서울
황금기 롯데갤러리 중동점, 경기
전통을통한 카타르시스 대청호미술관, 청원
고양신진작가빌굴전 아람누리미술관, 경기
2011 코리아투모로우, 예술의전당, 서울
한국화의 재발견, 성남아트센터, 경기
2010 한국화의 이름으로, 포항시립미술관, 포항
Beyond Landscape Art part, 서울
2009 접점들, 갤러리정미소, 서울
peep!, 송원아트센터, 서울
서교육십2009 인정게임, 갤러리상상마당, 서울
내알을향해쏴라, 대안공간충정각, 서울
smile smile smile, 갤러리고도, 서울
해석에 반대하다, 인터알리아, 서울
청주리빙아트, 청주예술창작스튜디오, 청주
산수유람기, 갤러리잔다리, 서울
유락산수, 이천시립월전미술관, 이천
동방의 요괴들, 두산아트센터, 서울
김윤재는 한국의 전통적 모티브를 현대화하는 작업을 꾸준히 해오고 있다. 그는 군 생활을 DMZ 비무장지대에서 하면서 무릉도원과도 같은 자연들을 마주했었는데, 그 때의 멋진 추억들이 잊혀지는 것이 아쉬워서 인체에 산수를 조각하여 표현하기 시작했다. 인간의 몸 일부에 자연을 융합하여 삐죽 빼죽 솟은 머리카락, 굽은 등, 접은 팔과 다리 등 자연을 닮은 인체의 굴곡은 금강산의 만이천봉이나 바위산을 타고 떨어지는 폭포의 물줄기, 사이사이 골짜기의 시냇물로 표현된다. 그리고 이 안에 작은 기와집, 물 위의 나룻배, 연을 날리는 도인, 책을 읽는 선비 등 많은 생명들의 이야기가 공존하며 소우주를 이루게 된다. 그는 작품 속에서 전통과 과거를 현재 속에 재현하고 그 시간을 일깨우고 자연과의 조화를 중시하며 진경산수 한 폭을 사람의 인체 위에 재현해 놓는 작업으로 자연에 동화되고픈 삶의 갈망을 표현하고 있다.